미래유산 만나보기

미래유산 찾아보기

국립서울현충원

공유하기 리스트
추천4 조회7184 소재지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전경
개요
대상
국립서울현충원
인증번호
2013-028
주소
동작구 현충로 210
선정연도
2013년
건립시기
미상
건립용도
묘지
이력사항
  • 1954년 03월 국군묘지 착공
  • 1954년 10월 무명용사탑 및 무명용사문 건립
  • 1956년 01월 무명용사 최초 안장
  • 1957년 04월 국군묘지 준공, 신분확인 용사 최초 안장
  • 1964년 03월 애국지사 최초 안장
  • 1965년 03월 국군묘지에서 국립묘지로 승격
  • 1965년 07월 이승만 전 대통령 안장
  • 1967년 09월 현충탑 건립
  • 1969년 04월 현충문 건립
  • 1974년 12월 국립묘지관리소 청사 준공
  • 1979년 11월 박정희 전 대통령 안장
  • 1980년 12월 현충관 건립
  • 1996년 06월 ‘국립현충원’으로 명칭 변경
  • 2006년 01월 ‘국립서울현충원’으로 명칭 변경
  • 2009년 08월 김대중 전 대통령 안장
  • 2015년 11월 김영삼 전 대통령 안장
  • 2022년 02월 유품 전시관 리모델링 및 재개관
  • 2022년 4월 제2충혼당 개관
보존필요성
  • 국가원수, 애국지사, 순국선열 등 국가의 발전을 위해 명예로운 일들을 한 사람들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장병들을 기리는 장소로서 보존필요성이 있음
설명
국립서울현충원은 국가 발전을 위해 명예로운 일을 한 사람들과 국가원수, 애국지사, 순국선열 등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장병들을 안장한 곳이다.

국립서울현충원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위치에 43만여 평(142만㎡)의 대지에 한국전쟁으로 전몰한 국군장병들을 안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54년 육군공병대에 의해 착공되어 72000평의 묘역을 조성하여 1957년에 준공되었다.

1966년 장군 제2묘역 조성, 1968년 학도의용군묘역 150평 조성,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월남전 전사자들의 묘역 증설을 위해 장병묘역(제55,56묘역 4,200평, 제12,13묘역 2,000평), 국가유공자묘역(제1묘역 1,200평과 제2묘역 300평), 장군 제1묘역(하단 6,200 평)을 조성했다. 1975년 장병묘역(제27~29,55,56묘역 6,900평)을 증설하고 1981년 장군묘역(제3묘역 2,400평)을 조성했으며 1993년 임시정부요인묘역 1,500평을 애국지사묘역 위쪽에 조성했다.

묘역은 초대·2대·3대 대통령을 역임한 이승만 전 대통령과 제5·6·7·8·9대 대통령을 역임한 박정희 전 대통령 및 영부인 육영수, 15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안장된 국가원수묘소와 임시정부요인묘소, 애국지사묘역, 국가유공자묘역, 무후선열제단, 장군묘역, 장병묘역, 경찰묘역, 외국인묘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충혼당, 위패봉안관, 현충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마다 충절을 기리는 참배객들이 늘어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연평균 방문객이 600만 명이 넘고 있다.

2022년 4월에는 제2충혼당이 개관되어 3만2952위 영현이 안치되었다. 제2충혼당은 지하1 층과 지상 4층 규모로 국가유공자 영현을 안치하는 봉안실, 실내외 추모 공간 25개 제례실, 메모리얼홀, 편의시설 등으로 조성되어 있다.
주변현황
대중교통
(버스)
  • 정류소명: 동작역, 국립현충원(20―133, 20―134)
  • 버스번호: 350번, 360번, 362번 외 다수
  • 도보시간: 2분 ~ 10분
대중교통
(지하철)
  • 동작역(4호선, 9호선)
  • 도보시간: 2분 ~ 10분
주차장
주차비용
무료
주차대수
400
주차시간
06시 ~ 18시
위치
조사목록
조사목록 - 분류, 명칭, 저작권자, 출처, 상세보기, 참고자료로 구성
분류 명칭 저작권자 출처 상세보기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