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유산 소개
소개
오늘, 우리는 100년 후 보물을 준비합니다.
미래유산은 문화유산으로 지정 혹은 등록되지 않은 서울의 근현대 문화유산 중에서 미래세대에게 전달할 만한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모든것으로, 서울사람들이 근현대를 살아오면서 함께 만들어온 공통의 기억 또는 감성으로 미래세대에게 전할 100년 후의 보물입니다.
서울이 빛나는 이유?
숨겨진 보석 때문입니다.
다채로운 공간들이 담겨져 있는 북촌 한옥밀집지역
북촌 한옥밀집지역 - 1930년부터 1940년대에 지어진 도시형 한옥군이 형성되어 있는 지역으로 다양한 문화유산과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는 다채로운 공간들이 담겨져 있는 장소
서울의 랜드마크이자 대표적인 관광명소 남산서울타워
남산 서울타워 - 서울의 랜드마크이자 대표적인 관광 명소로, 서울시 용산구 남산공원길에 있는 전망타워와 문화·상업 복합시설을 통칭
대한민국 최초의 2층 교량 반포대교
반포대교 - 서울시에서 강남지구 도시 개발 촉진책의 일환으로 건설된 대한민국 최초의 2층 교량으로 강남과 강북을 잇는 주요 통로 역할
함석헌 가옥, 윤극영 가옥, 백사마을, 망우터널, 망우리공원묘지, 중앙선 폐철도노선, 불광대장간, 연희 104고지 전적지, 산새마을, 헌인가구단지, 세종문화회관, 삼일로 창고극장, 성우이용원, 삼청각, 경기상고본관, 간송미술관, 동대문 헌책방거리, 한양공원비, 피맛골, 서울광장, 남산도서관, 석호정, 성수대교 참사 희생자 위령탑, 마장동 축산물 시장, 신당동 떡볶이 골목, 뚝섬승마장, 용마산 대삼각본점, 월드컵공원, 서울온수일반산업단지, 양화대교, 여의도공원, 노량진 수산시장, 한국수출산업단지, 원효대교, 한강대교, 국립서울현충원, 사당동 가구거리, 반포대교, 한남대교, 가락동 농수산물시장, 잠실대교,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천호대교
반짝이는 보석
당신이 기억, 향유 해야할 서울미래유산입니다.
서울특별시 문화본부 문화정책과
서울미래유산 정의

시민들이 근ㆍ현대를 살아오면서
간직한 추억과 감성을 지닌 유산 입니다.

끊임없이 발전하는 가치의 유동성을 담은
미래지향적 문화유산입니다.

시민들의 사회적, 정서적 합의에
기초한 유산입니다.
서울미래유산 추진 배경
급속한 사회의 변화와 함께 근·현대 서울 시민의 모습이 담긴 문화유산이 멸실·훼손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래유산은 가치평가가 불완전하고, 현재에도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미래유산의 보전에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시민의 이해와 참여를 바탕으로 시민 스스로가 서울의 문화와 유산을 지키고 가꾸는 일에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새로운 문화유산 보전사업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서울미래유산 사업 원칙
서울미래유산 보전 사업은 문화유산의 획일적 보전을 위한 규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아닙니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개별적 특성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보전 방식을 제시합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미래유산을 보전하기 위한 과정을 시민사회의 참여와 함께 고민하여 최적의 미래유산 보전 방식을 도출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