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광동 성당
공유하기 리스트
추천8
조회5572
소재지
은평구
![불광동 성당 전경](/common/cmmThumbFileDown.do?fileNm=2013116_001_%EC%99%B8%EB%B6%80_resize.jpg&type=t)
개요
- 대상
- 불광동 성당
- 인증번호
- 2013-116
- 주소
- 은평구 통일로 786
- 선정연도
- 2013년
- 건립용도
- 종교시설
- 건립시기
- 1986년(1985년)
- 이력사항
-
- 1985년 준공
- 1997년 증축
- 2010년 부분철거 및 증축
- 보존필요성
-
- 1986년 지어진 철근콘크리트조의 종교 건축물로 한국 100대 건축물 중 하나로 한국 근현대건축문화사를 대표하는 건물 중 하나
- 건축가 김수근의 3대 종교 건축물로 손꼽히는 종교건축물로 건립 당시의 모습이 비교적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어 건축사적인 측면에서 보존 가치가 높음
설명
사진
주변현황
- 대중교통
(버스) -
- 정류소명: 동명여고,천주교불광동성당(12―019)
- 버스번호: 471번, 701번, 703번 외 다수
- 도보시간: 1분 ~ 2분
- 대중교통
(지하철) -
- 불광역(3,6호선) 8번 출구, 연신내역 3번 출구 약 400m 지점
- 도보시간: 7분 ~ 8분
- 위치
-
조사목록
분류 | 명칭 | 저작권자 | 출처 | 상세보기 | 참고자료 |
---|
건축가 김수근의 3대 종교건축물로 손꼽히며 건축의 아름다움과 종교 건축의 조형미를 동시에 추구한 건축물로써 한국 근현대 건축문화사를 대표하는 건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천주교와 기독교는 서양의 문화와 함께 종교적 영향을 받아 한국의 예배공간도 서양식 공간 개념이 흡수되었다. 김수근은 한국적인 형태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커다란 덩어리 개념보다 작은 개체가 모여서 하나를 이루는 형태로서 계획했다. 그 결과 보는 이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985년에 준공했으며 1997년에 증축했고 2010년에 부분 철거 및 증축을 거쳐 건축 원형은 보존하고 인테리어를 현대식으로 변경했다. 서양식 예배공간을 직접 모방하는 방식이 아닌 ‘은유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서 평가받고 있는 불광동 성당은 현재 건립 당시의 모습이 비교적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어 건축사적인 측면에서 보존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