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유산 만나보기

미래유산 찾아보기

삼청각

공유하기 리스트
추천163 조회10417 소재지 성북구
삼청각 입구
개요
대상
삼청각
인증번호
2013-123
주소
성북구 대사관로 3
선정연도
2013년
건립용도
공연장
건립시기
1972년
이력사항
  • 1972년 준공
  • 1972년 남북적십자회담, 한일회담의 막후 협상 장소로 이용
  • 1997년 일반음식점 ‘예향’으로 전환
  • 1999년 ‘예향’ 폐업
  • 2000년 서울시가 삼청각 부지와 건물을 도시계획시설상 문화시설로 지정
  • 2001년 리모델링, 전통 문화공연장으로 개장
  • 2009년부터 ㈜세종문화회관이 운영
  • 2022년 건물 내외부 노후시설 전면 리뉴얼을 완료하고 전통문화 관광시설로 재개관
  • 2022년부터 민간기관에서 운영
보존필요성
  • 1970~1980년대 국빈 접대와 정치 회담 장소로 명성을 떨쳐온 서울의 3대 요정(料亭)의 하나
  • 여야 고위정치인의 회동과 1972년 남북적십자회담, 한일회담의 막후 협상장소로 이용하였던 곳으로 제4공화국 유신시절 요정정치의 상징으로서 보존 가치가 있음
  • 주변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어우러져 심미적으로도 보존가치가 충분함
설명
서울 성북구 성북2동 330-115에 위치한 삼청각(三淸閣)은 1972년에 설립된 전통문화공연장이다.

삼청각은 1970년~1980년 요정정치의 산실로 대표되던 곳이었다. 여야 고위정치인의 회동과 1972년 남북적십자회담, 한일회담의 막후 협상장소로 이용하였던 곳으로, 제4공화국 유신시절 요정정치의 상징이었다.

삼청각은 기생요정문화의 상징이었으며 70년대 일본관광객을 상대로 소위 이야기하는 방석문화, 기생관광으로 비난을 받기도 했다. 삼청각(三淸閣)이란 이름은 원래 도교에서 신선이 사는 집을 의미하는 태청(太淸), 옥청(玉淸), 상청(上淸)에서 따왔다고 하지만 산 맑고 물 맑고 인심 맑은 산청(山淸), 수청(水淸), 인청(人淸)의 의미가 더 어울리는 곳이다.

삼청각은 2000년 서울시가 인수한 후,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는 전통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해 왔으며, 2009년 7월부터 ㈜세종문화회관에서 운영하였고, 2022년 2월부터는 민간기관에서 시설운영을 맡고 있다.

2001년에 리모델링하여 전통문화공연장으로 개장하여 연중 전통공연이 열렸다. 새롭게 단장한 삼청각은 공연장, 한식당, 찻집, 객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모는 대지 5,884평, 연건평 1,331평이다. 일화당, 유하정, 청천당, 천추당, 취한당, 동백헌 6채의 한옥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변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어우러져 심미적으로도 보존가치가 충분하다.

2022년 6월 27일 건물 내외부 노후 시설의 전면 리뉴얼을 완료한 다음 전통문화 관광시설로 재개관하였다.
전통문화관광명소로서의 삼청각은 지속적으로 전통공연과 미술작품 전시를 개최함으로써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국제회의 및 컨벤션 행사를 위한 공간 또한 제공하고 있다.
주변현황
대중교통
(버스)
  • 정류소명: 동방대학원대학교(08―224,08―225)
  • 버스번호: 1111번, 2112번
  • 도보시간: 12분 ~ 14분
대중교통
(지하철)
  • 한성대입구역(4호선)
  • 도보시간: 35분 ~ 37분
주차장
주차비용
무료(서울시민)
주차대수
74
주차시간
12시 ~ 22시
위치
조사목록
조사목록 - 분류, 명칭, 저작권자, 출처, 상세보기, 참고자료로 구성
분류 명칭 저작권자 출처 상세보기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