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유산 만나보기

미래유산 찾아보기

원효대교

공유하기 리스트
추천7 조회4933 소재지 영등포구
원효대교 전경3
개요
대상
원효대교
인증번호
2013-203
주소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선정연도
2013년
건립용도
차도
건립시기
1981년
이력사항
  • 1978년 07월 착공
  • 1981년 10월 준공(민자유치로 건설(동아건설, 통행료 100~300원))
  • 1984년 기증(동아건설→서울시, 통행료 무료)
  • 1993년 12월 ~ 1996년 12월 5차에 걸친 성능개선공사 실시
  • 1997년 09월 ~ 1998년 12월 보수작업 실시
  • 2010년 정밀안전진단 실시
보존필요성
  • 국내 최초로 디비닥(Dywidag) 공법을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대교량
  • 지보공(timbering) 없이 가설되어 미관이 수려한 교량으로써 보존 가치가 충분함
설명
원효대교(元曉大橋)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와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연결하는 교량으로, 1978년에 착공하여 1981년 9월에 준공한 13번째 한강 교량이다. 원효대교는 우리나라 최초의 민자(民資) 유치 교량으로, 보상비 20억원을 제외한 총 공사비 225억원을 시공사인 동아건설에서 부담하였다.

원효대교는 영등포 및 흑석동 방면에서 한강 이북으로 진행하는 교통량이 늘어나 기존의 교량만으로는 이를 감당하기 어렵게 되었고, 또 향후 예상되는 과중한 교통량을 흡수하고 분산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건설 후 20년간 통행료를 징수해 공사비를 보전할 계획이었으나, 통행량이 저조하고 유료화에 따른 부정적 인식으로 시공사인 동아건설은 1984년 원효대교를 서울특별시에 기증하였다.

원효대교는 길이 1,070m, 너비 20m의 4차선 교량으로, 우리나라 최초로 디비닥(Dywidag) 공법을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대교량이다. 지보공 없이 경간을 장대화한 대신 경간비를 작게 하여 날렵하고 아름다운 외관을 갖도록 하였으며, 하부구조에는 우물통기초를 적용하였다. 1993년 12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지점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PSC 강봉 설치 및 성능개선공사를 시행하고, 성수대교 사고 이후 1997년 9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교좌장치를 교체하는 등의 보수작업을 실시하였다. 2010년 정밀안전진단 후 2013년부터 보수공사가 이루어졌다.

원효대교는 민간자본으로 건설된 우리나라 최초의 교량이자 디비닥 공법이 적용된 수려한 외관의 교량으로, 서울의 원활한 소통과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보존이 필요한 미래유산이다.
주변현황
대중교통
(버스)
  • 정류소명: 여의도중학교(19―141, 19―142)
  • 버스번호: 261번, 262번, 362번
  • 도보시간: 7분 ~ 9분
대중교통
(지하철)
  • 여의나루역(5호선)
  • 도보시간: 12분 ~ 15분
주차장
주차비용
-
주차대수
-
주차시간
-
위치
조사목록
조사목록 - 분류, 명칭, 저작권자, 출처, 상세보기, 참고자료로 구성
분류 명칭 저작권자 출처 상세보기 참고자료
연관자료
카드뉴스
원효대교
원효대교